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뜨거운 감자인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문제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특히,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의 발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앞으로의 무역 판도가 어떻게 흘러갈지 함께 예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호관세 유예는 없다! 단호한 러트닉 장관
러트닉 장관은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부과 연기는 없다. 며칠 또는 몇 주간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라며 협상을 통한 유예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워낙 강경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죠.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 재편을 통해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왜 이렇게 강경할까?
트럼프 대통령은 왜 이렇게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는 걸까요? 러트닉 장관은 이에 대해 “대통령에게는 모두가 흑자를 보고 우리는 적자를 보는 글로벌 무역(에 대한) 재편이 필요하다. 세계 각국은 우리를 갈취하고 있다. 이건 끝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미국의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겠다는 것이죠.
국가 안보 문제다!
주식 시장 폭락 등 상호관세 발표 후 충격파가 거센 것에 대해 러트닉 장관은 “이 문제는 국가안보 문제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미국이 더 이상 의약품, 배, 전투에 사용할 강철과 알루미늄을 자국에서 생산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해외 의존도가 높은 산업 구조의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펭귄섬에도 관세를? 우회 수출 막는다!
심지어 미국과 전혀 무역 거래가 없는 남극 근처의 무인도까지 관세 부과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러트닉 장관은 “만약 목록에 있는 나라를 빼버리면, 미국을 대상으로 한 기본적 차익 거래를 시도하는 국가들이 그 나라를 거쳐 우리에게 (제품을) 팔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한 철저한 조치인 셈이죠.
앞으로의 전망은?
러트닉 장관은 미국의 글로벌 무역체계 재편에 걸리는 시간이 중국에 즉각적인 이익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일축했습니다. 그는 미국이 전 세계의 소비자인 만큼, 무역 적자를 기록하는 불공정한 상황을 반드시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번 러트닉 장관의 발언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의지가 얼마나 강경한지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의 무역 판도가 어떻게 흘러갈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계속해서 주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14138?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