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자산운용사에 신뢰의 가치 강조 💰

이복현 금감원장, 자산운용사에 신뢰의 가치 강조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자산운용사 대표들에게 신뢰의 가치를 강조하며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제: 자산운용 산업의 신뢰 회복 및 발전 방향

이복현 금감원장은 자산운용 산업이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신뢰의 가치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K-운용사로 거듭날 것을 주문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

  • 투자자 최우선 원칙 강조: 형식적인 의결권 행사, 사익 추구, 이해관계에 치우친 의사결정 등 투자자 최우선 원칙을 훼손하는 사례 근절 촉구
  • 보수 인하 경쟁 지양: 과도한 보수 인하 경쟁으로 펀드 가격 산정 오류 등 운영의 기본을 흔드는 행위 경계
  • K-운용 차별화 전략: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한국 시장만의 매력을 보여줄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 필요

전문 내용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자산운용사 대표들에게 신뢰의 가치를 강조했다. 사진은 이 금감원장이 10일 오전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금융감독원장, 자산운용사 CEO(최고경영자)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머니S 이예빈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자산운용 산업은 100세 시대 혁신 기업 성장을 지원하고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자본시장의 핵심 인프라, 미래를 향해 내실 있게 성장하기 위해 눈앞의 숫자보다 신뢰의 가치를 먼저 돌아봐 달라”고 자산운용사 대표들에게 주문했다.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금융감독원장, 자산운용사 CEO(최고경영자) 간담회’가 개최됐다. 간담회엔 이 금감원장을 비롯해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23개 자산운용사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 금감원장은 “이 자리가 자본시장 선진화와 자산운용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함께 고민하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며 “우리 자본시장은 만성적 증시 저평가, 기업 실적 둔화 우려, 글로벌 관세 전쟁 등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위기 돌파를 위해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간 자본 선진화를 추진하면서 금투세 폐지, 공매도, 전산화 시스템 구축 등 가시적 성과도 있었으나 주주 이익 보호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라는 핵심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다”며 “이해관계 등을 접어두고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작동하는 입법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금감원장은 자산운용 산업에 대해 3가지를 제안했다. 그는 “자산운용사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투자자에 대한 충실 의무가 명시적으로 부여된다”며 “그러나 형식적 의결권 행사, 대주주와 임직원의 사익 추구, 계열사 등 이해관계 치우친 의사결정 등 투자자 최우선 원칙을 훼손하는 사례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은 의결권 행사 모범·미흡 사례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보수 인하 경쟁에 대해 “최근 일부 대형사를 중심으로 외형 확대를 위한 보수 인하 경쟁이 과열되는 가운데 운영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펀드 가격 산정에서 오류가 반복되고 있다”며 “투자자의 신뢰를 근본부터 흔드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본연의 책무를 등한시하고 노이즈 마케팅에만 집중하는 운용사에 대해 펀드 시장 신뢰 보호를 위해 상품 운용과 관리 체계 전반을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K 운용의 차별화 전략이 절실하다고도 주문했다. 그는 “자산운용 시장은 이미 국경을 넘어선 글로벌 경쟁터”라며 “한국 역시 상품 다양성 확대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한국 시장만의 매력을 보여주기엔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소통하는 K 운용만의 차별화 전략이 절실하다”고 마무리했다.

From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69980?sid=101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