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이재명과 하라리가 말하는 정부의 역할

AI 시대, 이재명과 하라리가 말하는 정부의 역할

AI와 정부의 개입, 그 필요성과 방향성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이재명 N 하라리 대담’에서는 인공지능(AI)의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에게 “AI산업을 국가 자본으로 투자해 그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은 어떠할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 대표는 최근 제안한 ‘K엔비디아 지분 공유론’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정부의 개입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AI 발전의 불확실성과 정부의 역할

이 대표는 “기술 개발 능력을 가진 대기업들이 막대한 부를 축적하게 될 것”이라며, 이러한 상황을 저지하기에는 기업들의 저항이 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추가적으로 AI 산업에 대한 공공 투자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를 통해 보다 공정한 수익 분배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하라리는 이에 대해 “나는 경제학자가 아니지만, 19세기 산업혁명 당시 아동 노동 문제를 예로 들어 기업과 정부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AI의 발전이 가져올 변화에 대해 인간의 지속적인 재교육과 직업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정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래의 일자리와 심리적 지원

하라리는 “다음 세대 일자리 시장이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불안정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재교육 뿐만 아니라 심리적 지원도 필수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변해야 한다는 압박을 겪으며 느끼는 스트레스를 덜어주는 것도 중요한 만큼, 정신보건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결론

AI 기술이 계속 발전하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재명 대표와 유발 하라리의 대담은 정부의 개입과 공공 정책의 중요성을 상기시킵니다. 앞으로 AI 시대에 맞춰 각국 정부들이 어떻게 이러한 변화를 대응해 나갈지는 우리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68286?sid=100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